Page 83 - 2025-autumn
P. 83
문화 광장 건강 톡톡
병리의사가 들려주는 ‘암’ 이야기
서재희 목자
1. 암이 무엇인가요? 2. 암은 왜 생기나요?
우리 몸은 30조개 이상의 많은 세포들 암이 생기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지만,
로 이루어지며, 이 세포들은 수명이 다하 유전자 돌연변이가 핵심입니다. 이 돌연
면 스스로 죽어 없어지고, 새로운 세포들 변이는 자연적으로 생기기도 하고, 외부
이 생겨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. 정상세 환경의 영향을 받아 생기기도 합니다. 예
포들은 적당히 자라면 수명을 다할 때까 를 들어 흡연, 음주, 방사선, 특정 화학물
지 성장을 멈춥니다. 질, 바이러스 감염 (예: HPV, 간염바이러
스) 등이 유전자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.
그런데 어떤 이유로 문제가 생기면, 조
절 받지 않고 계속 자라는 세포가 생겨나 나이가 들수록 돌연변이가 누적되어 암
게 됩니다. 이런 정상 조절을 벗어난 세포 발생 위험도 높아집니다.
가 자라나 덩어리(혹)를 만들면 이것을 종 하지만 유전자 변화가 생겼다고 반드시
양이라고 합니다. 이 중에서도 주변 조직 암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. 우리 몸에는
을 파괴하며 계속 성장하거나, 혈관이나 손상된 유전자를 고치거나 문제 있는 세
림프관을 통해 다른 곳으로 퍼지는 성질 포를 제거하는 방어 체계가 있기 때문입
을 가져, 결국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니다. 문제는 이 체계도 나이가 들거나 내
것을 ‘악성 종양’, 즉 암이라고 부릅니다. ·외부적인 요인으로 약해지거나 제대로
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.
암의 확진은 대부분 현미경 등을 이용한
병리 검사를 통해 이뤄집니다. 폐 편평상피세포암 현미경사진